아이가 인플루엔자(독감) 의심 증상을 보인다면?
아이가 인플루엔자(독감) 의심 증상을 보인다면?
최근 방역 당국에 따르면 인플루엔자 확진 환자가 10주 연속 증가 추세라고 합니다. 코로나가 좀 잠잠하다 했더니 다시 독감이 유행인데요, 만약 내 아이가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을 보인다면 얼른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인플루엔자 증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대표적인 인플루엔자 증상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평균 2일 (1~4일) 후에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증상에는 발열과 두통, 근육통, 콧물, 인후통, 기침 등이 나타나고요 나이가 어리다면 구토와 설사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인플루엔자의 증상 역시 일반 감기와 비슷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판단이 어려울 수 있는데요, 일단 발열과 함께 기침 등의 호흡기 증상을 보인다면 병원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 외 나타나는 증상들
- 빠른 호흡이나 호흡 곤란
- 가슴 통증 & 갈비뼈 통증
- 발작이나 탈수
- 푸르스름한 입술과 창백한 얼굴
- 걷기를 거부할 정도의 심한 근육통
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평상시 건강했던 아이라도 빨리 병원으로 가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발열이나 기침이 가라앉는 듯했다가 다시 재발하면 반드시 의사 진료를 받아야 하고요 어린 아기의 경우 탈수 증상을 파악하기가 어렵다면 입안이 마르지 않는지 소변은 제 때 잘 누는지, 울 때 눈물은 나는지 등을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만약 8시간 동안 소변을 한 번도 보지 않았다면 탈수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의심 증상으로 병원에서 인플루엔자 확진 판정을 받았다면 그 이후로는 자가 격리를 해야 하는데요, 인플루엔자 역시 코로나 만큼 전파력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만약 내 아이가 초·중·고 학생이라면 다음 내용을 잘 참고해 주세요
학생인데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을 보이거나 확진 됐다면?
- 의심 증상 발생 시 : 학교에 연락 후 등교하지 않고 진료 후 집에서 휴식합니다.
- 확진 시 : 등교 중지 (전염력이 없어질 때까지), 등교 중지 기간은 5일, 7일 이런 식으로 명확하게 지정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그렇기에 등교 중지 기간은 의사의 소견에 따르는 것이 좋으며 기간이 명시되지 않은 경우 "해열제 없이 정상 체온 회복 후 24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를 기준으로 삼습니다.
- 출결 처리 : '출석 인정' 결석 처리 (단, 증빙서류 반드시 제출)
이렇게 인플루엔자 확진 후 등교를 하지 않게 되었다면 먼저 아이가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고 수분과 영양이 부족하지 않도록 챙겨줍니다. 또 아이가 집에 있는 동안은 65세 이상의 고령자나 고위험군과의 접촉은 되도록 피해 주세요. 그리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문 손잡이나 스위치 등을 소독해 주시고 식사는 따로 하는 등 다른 가족 구성원이 감염되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다행히 인플루엔자의 경우 치료약이 있어 빠른 치료가 가능하긴 하지만 인플루엔자 역시 사람에 따라 경증에서 중증까지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입원 치료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특히 어린이나 고위험군의 경우 폐렴이나 기관지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한대요, 평상시 인플루엔자 예방 수칙을 지키는 것이 좋겠죠?
인플루엔자를 예방하는 생활 수칙
- 발열 및 호흡기 증상자를 피한다. 가족인 경우에도 접촉을 피하는 것이 좋다.
- 기침 예절 준수 (기침할 때 옷소매나 손수건 등으로 입과 코 가리기)
- 자주 손 씻기 (흐르는 물에 30초 동안 비누나 세정제를 이용해 씻기)
- 씻지 않은 손으로 눈과 코, 입 등을 만지지 않기
자, 오늘은 이렇게 최근 다시 유행하고 있는 인플루엔자의 증상과 예방법, 그리고 학생들의 경우 등교 문제를 어떻게 하면 좋은지에 대해 살펴봤는데요, 독감 역시 걸리면 코로나처럼 엄청 아프고 힘드니까요 평상시 예방 수칙에 따라 개인위생을 철저히 해 건강을 지키시길 바라겠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 아직까지는 노마스크는 위험하니까 대중교통 등을 이용하거나 사람이 밀집된 실내 장소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하시길 권고합니다. 그럼 오늘도 건강하세요!